티스토리 뷰
목차
출산하기 전에 온라인 출생신고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계신가요?
온라인 출생신고를 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필요 서류와 신고가 가능한 병원 등 확인해야 할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출생신고는 시기를 놓치면 최대 1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되기 때문에 반드시 출산 후 1개월 내에 출생신고하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출생신고 필요 서류
준비물은 총 3가지입니다.
1. 온라인 출생신고 정보제공 동의서
(병원에 사전 제출 필수)
온라인 출생신고를 하기 위해서 위의 동의서를 병원에 반드시 사전 제출해야 합니다.
아래 온라인 출생신고 정보제공 동의서를 출력해서 미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2. 출생증명서
3. 공동인증서 또는 금융인증서
온라인 출생신고 방법
온라인 출생신고 절차
1. 온라인 출생신고 병원 선택
온라인 출생신고를 위한 개인정보제공 동의서를 제출한 병원을 선택합니다.
아래 사이트의 목록에 있는 병원에서 출산한 경우에만 온라인 출생신고가 가능합니다.
미리 온라인 출생신고가 가능한 병원을 알아보시고 준비하여 출산하시기 바랍니다.
2. 신고서 작성 서류 첨부
출생신고서 작성 정보를 입력합니다.
신생아의 부모님이 결혼 상태이면 혼인 중의 출생자를 선택, 결혼이 아닌 상태이면 혼인 외의 출생자를 선택합니다.
부, 모의 내국인 여부를 선택합니다.
신고인 정보를 입력합니다.
신고인의 자격은 부, 모, 부의 친권자, 모의 친권자 등 선택할 수 있습니다.
출생자의 정보와 부모의 정보를 입력합니다.
출생증명서 등 첨부서류를 등록합니다.
3. 출생신고서 작성 확인
출생신고서 작성 내용을 확인하고 수정 또는 제출합니다.
4. 신고서 수정 및 제출
작성된 신고서를 수정, 제출 메뉴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인증서 또는 신고번호에 따라 조회 방법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신고서 제출 시 인증서를 통한 전자서명이 필요합니다.
전자서명을 확인하시면 신고서 제출이 완료됩니다.
5. 출생신고 사건 접수 처리
출생신고 처리기간은 출생증명정보 전송으로 인하여 7일 정도 소요됩니다.
출생신고 이후 각종 복지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각 신청기간 내에
임신, 출산 관련 서비스 통합처리 사이트를 통해 신청해야 합니다.
출생신고 기간 및 과태료
온라인 출생신고 기간은 신생아 출생 후 1개월 이내입니다.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신고의 의무가 있는 사람이 정당한 사유 없이 기간 내에 해야 할 신고 또는 신청을 하지 않은 경우 "신고 해태"로 보아 최대 5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시, 구, 읍면의 장이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기간을 정하여신고 또는 신청의 최고를 한 경우에 정당한 사유 없이 그 기간 내에 신고 또는 신청을 하지 않은 경우에 "최고 후 신고 해태"로 보아 최대 10만 원의 과태료가 부가됩니다.